용신(用神) 희신(喜神) 기신(忌神) 구신(仇神) 정리

들어가며: 내 사주라는 나라의 운명을 결정하는 신하들

사주명리학의 세계를 여행하다 보면, 우리는 필연적으로 ‘용신(用神)’이라는 매우 중요한 개념을 만나게 됩니다. 단순히 태어난 날의 글자(일주)만으로 ‘나’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 내 사주팔자 여덟 글자 전체가 어떤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균형을 잡기 위해 무엇이 가장 필요한지를 밝혀내는 과정이 바로 용신을 찾는 여정입니다.

만약 나의 사주팔자가 하나의 ‘나라’라면, 사주의 주인공인 일간(日干)¹은 바로 이 나라의 ‘왕(王)’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일곱 글자는 왕을 돕거나 방해하며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는 신하들이죠.

용신 이론은 이 신하들을 역할에 따라 크게 다섯 종류로 나누어, 내 인생의 길흉화복이 어떤 흐름으로 펼쳐지는지를 분석하는, 사주명리학의 정수(精髓)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내 사주라는 나라를 이끌어갈 충신과 간신, 즉 **용신(用神), 희신(喜神), 기신(忌神), 구신(仇神), 한신(閑神)**을 선정하는 원리와 각각의 역할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용신(用神)을 찾는 3단계 방법
  2. 내 편과 네 편: 희신, 기신, 구신, 한신
  3. 한눈에 보는 용신 관계도
  4. 맺으며: 운명의 지도를 읽는 지혜
  5. 용어 풀이 (각주)

1. 용신(用神)을 찾는 법

용신을 찾는 과정은 내 사주팔자 전체를 진단하고 가장 필요한 ‘처방’을 내리는 것과 같습니다. 그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단계: 월지를 통해 ‘사주의 계절’을 파악한다

사주팔자 여덟 글자 중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글자를 단 하나만 꼽으라면, 그것은 단연코 **월지(月支)²**입니다. 월지는 내가 태어난 계절을 의미하며, 그 계절의 기운이 사주 전체의 ‘기후’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격국론에서는 이 월지를 **월령(月令)³, 즉 ‘월의 명령’**이라고 부르며 모든 판단의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습니다.

  • 예시 1: 한여름인 오월(午月)에 태어났다면, 내 사주는 불(火) 기운이 매우 강한 ‘더운 나라’가 됩니다.
  • 예시 2: 한겨울인 자월(子月)에 태어났다면, 물(水) 기운이 강한 ‘추운 나라’가 되는 것이죠.

2단계: 그 계절 속에서 ‘나(일간)’의 상태를 본다

이제 그 계절적 환경 속에서 ‘나’를 상징하는 일간(日干)이 힘이 있는지(신강), 없는지(신약)를 판단합니다. 일간과 같은 오행이나 일간을 생(生)해주는 오행이 많으면 **신강(身强)⁴**하고, 일간의 힘을 빼거나 극(剋)하는 오행이 많으면 **신약(身弱)⁵**하다고 봅니다.

3단계: ‘가장 필요한 것(용신)’을 찾는다

위 두 가지 정보를 종합하여, 이 사주에 균형을 잡아주기 위해 가장 시급하게 필요한 오행(五行)이 무엇인지를 찾아냅니다. 이것이 바로 **용신(用神)**입니다. 사주의 균형을 잡는다는 의미에서, 이러한 용신 선정법을 **억부용신법(抑扶用神法)⁶**이라고도 합니다.

<용신 선정 예시>

  • 사례 1: “너무 덥고, 왕의 힘도 너무 강한 나라” (오월에 태어난 병화 일간)
    이글거리는 불을 제어하고 더위를 식혀줄 **물(水)**이 가장 시급하게 필요합니다. 따라서 수(水)가 용신이 됩니다.
  • 사례 2: “너무 춥고, 왕의 힘은 약한 나라” (자월에 태어난 갑목 일간)
    꽁꽁 언 나무를 녹여주고 힘을 실어줄 **불(火)**이 가장 시급하게 필요합니다. 따라서 화(火)가 용신이 됩니다.

2. 내 편과 네 편: 희신, 기신, 구신, 한신

내 나라의 가장 중요한 신하인 용신(재상)이 정해지면, 나머지 신하들의 역할은 아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용신을 돕는 세력은 ‘아군’인 희신이 되고, 용신을 공격하는 세력은 ‘적군’인 기신과 구신이 됩니다.

희신(喜神) – 용신의 충직한 장군 (아군)

‘기쁠 희(喜)’ 자를 쓰는 희신은 말 그대로 ‘기쁨을 주는 신하’입니다. 재상(용신)의 뜻을 받들어 정책을 실행하는 충직한 장군이나 행정관과 같습니다. 사주 원리상으로는 **용신(用神)을 생(生)⁷해주는 오행**이 바로 희신입니다. 내 운에서 용신과 희신이 함께 들어오는 시기에는 인생이 순탄하게 풀려나가며 큰 발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신(忌神) – 용신을 공격하는 간신 (적군)

‘꺼릴 기(忌)’ 자를 쓰는 기신은 내가 가장 꺼리고 싫어하는 신하, 즉 ‘간신(奸臣)’을 의미합니다. 나라를 안정시키려는 충신(용신)을 직접적으로 **공격(剋)⁸**하여 나라를 위태롭게 만드는 가장 위험한 존재입니다. 기신이 운에서 들어오면, 내 인생의 가장 소중한 가치(용신)가 공격받으므로, 하는 일마다 막히고 재물 손실, 건강 악화, 인간관계의 파탄 등 고통스러운 시기를 보내게 됩니다.

구신(仇神) – 간신의 편에 선 원수 (적군)

‘원수 구(仇)’ 자를 쓰는 구신은 간신(기신)을 돕는 ‘원수 같은 신하’입니다. 직접적으로 나서지는 않지만, 뒤에서 간신(기신)을 생(生)해주며 힘을 실어주는 존재입니다. 구신이 운에서 들어오면, 나를 괴롭히는 문제(기신)가 더욱 커지고 해결하기 어려워지는 힘든 시기를 겪게 됩니다.

한신(閑神) – 기회를 엿보는 중립 세력

‘한가할 한(閑)’ 자를 쓰는 한신은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은 ‘중립적인 신하’입니다. 평소에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지만, 운의 흐름에 따라 희신 편에 붙어 나를 돕기도 하고(吉), 기신 편에 붙어 나를 괴롭히기도 하는(凶) 박쥐 같은 존재입니다.

3. 한눈에 보는 용신 관계도와 운의 작용

각 신(神)들이 운에서 들어올 때 어떤 작용을 하는지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역할 (비유)관계운의 작용
용신(用神)나의 재상 (가장 중요)최고의 행운기 (발복)
희신(喜神)용신의 아군용신을 생(生)해줌좋은 시기 (길운)
기신(忌神)나의 간신 (가장 위험)용신을 극(剋)함최악의 시기 (흉운)
구신(仇神)기신의 아군기신을 생(生)해줌나쁜 시기 (불운)
한신(閑神)중립 세력상황에 따라 변함길흉이 복잡하게 나타남

맺으며: 운명의 지도를 읽는 지혜

용신과 희신, 기신, 구신을 찾아내는 것은, 내 사주라는 나라의 역학 관계를 파악하고, 앞으로 어떤 운(**대운(大運)⁹, 세운(歲運)¹⁰**)이 들어올 때 나의 나라가 흥하고 망할지를 예측하는 사주명리학의 가장 깊이 있는 분석 방법입니다.

내가 가장 힘들 때(기신운)는 언제이며, 그때 나를 도와줄 수 있는 것은 무엇(용신)인지를 아는 것. 그리고 내 인생의 황금기(용신운)는 언제이며, 그때 무엇을 해야 더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는지를 아는 것. 이것이 바로 용신 이론이 우리에게 주는 삶의 지혜입니다.

형.충.파.해.합.원진

24절기

양력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