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지지 지장간-신(申)금 편

  • (무토, 임수, 경금)

안녕하세요, 범인의 사주서재입니다.

[미(未)토 지장간] 편에서 우리는 ‘정(丁)화’의 열기와 ‘을(乙)목’의 무덤이 ‘기(己)토’라는 메마른 땅(燥土)에 저장되어 ‘가을(金)’을 기다리는 모습을 배웠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 뜨거운 여름의 끝을 지나, 만물이 ‘결실’을 맺고 ‘숙살(肅殺)’의 기운이 시작되는 가을의 문턱, 신(申)금의 시간으로 들어왔습니다.

신(申)금은 12지지 동물로 ‘원숭이’이며, 해가 서산으로 넘어가는 오후(오후 3시~5시)를 상징합니다. 원숭이(申)는 재주가 많고(金), 변화무쌍하며(壬을 품음), 높은 곳(戊)에 오르기를 좋아합니다.

신(申)금은 [인(寅)목], [사(巳)화]와 같은 ‘생지(生支)’입니다. 하지만 그 목적은 [인(寅)목]이 ‘화(火)국’을, [사(巳)화]가 ‘금(金)국’을 여는 것과 달리, ‘수(水)국’을 여는(신자진) 임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신(申)금의 지장간(무토, 임수, 경금)을 이해하는 것은, 어떻게 ‘쇠(金)’가 ‘물(水)’을 잉태하는지, 사주명리학의 핵심 원리인 ‘장생(長生)’과 ‘삼합(三合)’의 진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1. 신(申)금 지장간 조견표: 가을의 시작 (水의 장생지)

먼저 신(申)금의 지장간 구성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지지월(月)절기지장간 구성 (총 30일 기준)
신(申)음력 7월입추(立秋), 처서(處暑)무(戊)토 (7일), 임(壬)수 (7일), 경(庚)금 (16일)
구분여기(餘氣)중기(中氣)본기(本氣)
신(申)무(戊)토임(壬)수경(庚)금

[인(寅)목], [사(巳)화]와 마찬가지로 3개의 오행이 들어있는 ‘생지(生支)’의 전형적인 구조입니다. (다만 일부 학파에서는 戊토 대신 己토, 혹은 戊/壬수가 같이 있다고도 하나, 위 표를 표준으로 설명합니다.)


2. 신(申)금 지장간 분석: 왜 무(戊)토, 임(壬)수, 경(庚)금인가?

1) 여기(餘氣): 무(戊)토 (계절의 다리)

  • [인(寅)목], [사(巳)화]와 마찬가지로 ‘생지(生支)’인 신(申)금의 ‘여기’는 **’무(戊)토’**입니다. (미(未)토의 기(己)토 기운이 양(陽)화 되어 넘어왔다고 보기도 합니다.)
  • 이는 여름(未)이라는 계절에서 가을(申)이라는 계절로 넘어가는 거대한 ‘환절기’의 중재 역할을 ‘무(戊)토’가 담당함을 의미합니다.
  • 뜨거운 땅(未)의 기운이 식어 ‘차가운 바위(申)’가 되기 전, 그 ‘땅(戊)’의 기운이 다리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2) 중기(中氣): 임(壬)수 (삼합의 목적: 水의 시작)

  • 가장 중요하고 역설적인 부분입니다. 왜 ‘가을(金)’의 시작에 ‘겨울(水)’이 들어 있을까요?
  • 신(申)금은 **’신자진(申子辰) 수(水)국’**이라는 삼합(三合) 운동의 ‘시작(生)’입니다.
  • 이는 ‘임(壬)수’가 ‘신(申)금’에서 **’장생(長生)’**한다는, 즉 ‘첫 생명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 물상(物象): ‘신(申)금’은 ‘단단하고 차가운 바위(庚)’입니다. 이 차가운 바위(金) 틈에서 **’맑은 샘물(壬)’**이 솟아나는 것(금생수, 金生水)이 ‘신(申)금 속의 임(壬)수’입니다.
  • 따라서 신(申)금은 겉은 ‘가을(庚)’을 살아가지만, 그 내면의 목적(중기)은 **’겨울(子)의 왕성함(壬)’**을 준비하는 데 있습니다.

3) 본기(本氣): 경(庚)금 (신(申)금의 본질: 원석, 바위)

  • 신(申)금의 본질은 당연히 ‘금(金)’이며, 양(陽)의 금(金)인 **’경(庚)금’**입니다.
  • ‘신(辛)금’이 ‘보석’이라면, ‘경(庚)금’은 ‘제련되지 않은 원석’, ‘거대한 바위’, ‘무기’, ‘열매’입니다.
  • ‘숙살지기(肅殺之氣)’라 하여, 여름내 만연했던 기운을 ‘단절’하고 ‘결실’을 맺게 하는 강력한 힘입니다.
  • 결론: 신(申)금은 겉으로 ‘바위(庚)’처럼 단단하고 차갑지만, 그 속에는 ‘산(戊)’의 스케일과 ‘바다(壬)’의 지혜를 품고 있는, ‘역마(驛馬)’의 변화무쌍함을 가진 글자입니다.

3. 지장간과 십신(十神): 신(申)금은 누구인가?

이 역동적인 3개의 지장간(무토, 임수, 경금)이 ‘나(일간)’와 만나 어떻게 해석되는지 보겠습니다.

예시 1: 내가 ‘갑(甲)목’ 일간일 경우 (甲申 일주 등)

  • 신(申)금은 나에게 ‘편관(偏官)’입니다. (12운성 ‘절(絶)’지)
  • 지장간을 보니 무(戊)토(편재), 임(壬)수(편인), **경(庚)금(편관)**이 들어있습니다.
  • 해석 (재생살/살인상생): 겉으로는 ‘편관(경금)’이 나(甲목)를 ‘갑경충’으로 치고 있어(스트레스), 매우 위태로운 ‘절(絶)’지의 모습입니다.
  • 하지만 그 내면(지장간)을 보면, ‘편재(무토)’가 ‘편관(경금)’을 생(生)하고(재생살, 財生殺), ‘편관(경금)’이 다시 ‘편인(임수)’를 생(生)하는(살인상생, 殺印相生) 구조입니다.
  • 결론: 갑신(甲申) 일주는 ‘재물(무토)’을 좇을수록 ‘스트레스(경금)’가 커지지만, 그 ‘스트레스(경금)’가 오히려 ‘지혜와 문서(임수)’를 만들어내 나를 ‘수생목(水生木)’으로 살려주는 **’절처봉생(絶處逢生)’**의 명(命)입니다. 겉보기와 달리 엄청난 잠재력과 생존력을 가진, ‘권력’과 ‘지혜’를 동시에 쥔 사람입니다.

예시 2: 내가 ‘병(丙)화’ 일간일 경우 (丙申 일주 등)

  • 신(申)금은 나에게 ‘편재(偏財)’입니다. (12운성 ‘병(病)’지)
  • 지장간을 보니 무(戊)토(식신), 임(壬)수(편관), **경(庚)금(편재)**가 들어있습니다.
  • 해석 (식신생재/재생살): 겉으로는 ‘편재(경금)’라 스케일이 크고 재물을 추구합니다.
  • 내면(지장간)을 보면, 나의 ‘재능(식신 무토)’이 ‘돈(편재 경금)’을 만듭니다(식신생재, 食神生財).
  • 하지만! 그 ‘돈(편재 경금)’이 다시 ‘스트레스(편관 임수)’를 생(生)합니다(재생살, 財生殺).
  • 결론: 병신(丙申) 일주는 ‘재능(무토)’으로 ‘돈(경금)’을 버는 데는 천부적이지만, 그 ‘돈(경금)’이 커질수록 ‘스트레스(임수)’가 커져 ‘나(병화)’를 ‘병임충(丙壬沖)’으로 공격하는 자가당착에 빠지기 쉽습니다. 재물은 크지만, 그만큼의 ‘관재(官災)’나 ‘스트레스’를 안고 사는 사업가의 명(命)입니다.

4. 신(申)금 지장간과 운(運)의 해석 (형충회합)

신(申)금은 ‘생지(生支)’이자 ‘수(水)의 장생지’이기에, 운(運)에 따라 그 정체성이 완전히 뒤바뀝니다.

1) ‘인(寅)목’ 운이 올 때 (인신충, 寅申沖)

  • ‘생지(生支)’끼리의 정면충돌입니다. (봄의 시작 vs 가을의 시작)
  • 신(申)금 지장간 (무, 임, 경) vs 인(寅)목 지장간 (무, 병, 갑)
  • 지장간 속에서 갑경충(甲庚沖)(나무와 쇠), 병임충(丙壬沖)(불과 물)이 동시에 터집니다.
  • 해석: ‘역마(驛馬)’의 충돌로, 인생의 ‘판’이 뒤집어지는 가장 강력한 변화입니다. 사고, 이직, 이사, 이별, 창업, 파산 등 ‘새로운 시작’과 ‘단절’이 동시에 일어납니다. 지장간의 모든 글자가 충돌하기에 그 영향력이 매우 큽니다.

2) ‘자(子)수’, ‘진(辰)토’ 운이 올 때 (신자진 삼합)

  • 신(申)금(생지)이 자신의 ‘짝’인 자(子)수(왕지), 진(辰)토(고지)를 만났습니다.
  • **’신자진 수(水)국’**이 완성됩니다.
  • 이때 신(申)금의 본기인 ‘경(庚)금’은 힘을 잃고, 중기인 ‘임(壬)수’가 주인공이 됩니다.
  • 해석: 내 사주의 ‘쇠(申)’가 갑자기 ‘물(水)’로 돌변합니다. ‘금(金)’의 정체성을 버리고 ‘수(水)’의 세력으로 합류하는 것입니다. 수(水)가 ‘용신’이라면 인생 최고의 기회이지만, ‘기신’이라면 ‘쇠’인 줄 알았던 내 무기가 ‘물’이 되어 나를 덮치는(수다금침) 운이 될 수 있습니다.

3) ‘사(巳)화’, ‘인(寅)목’ 운이 올 때 (인사신 삼형살)

  • 가을의 시작(申), 여름의 시작(巳), 봄의 시작(寅)이 모두 만났습니다.
  • ‘지세지형(持勢之刑)’, 즉 ‘세력을 믿고 덤비다가 깨지는’ 가장 무서운 형살(刑殺)입니다.
  • 해석: [사(巳)화] 편에서 설명했듯, 지장간 속 ‘갑경충’, ‘병임충’이 복잡하게 얽히고, ‘배신’, ‘시비’, ‘구설’, ‘사고’, ‘수술’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신(巳申)’은 ‘형(刑)’이자 ‘합(合)'(사신합수)이 겹쳐, 배신(형)인지 동업(합)인지 알 수 없는 복잡한 인간관계와 사건 사고에 휘말리기 쉽습니다.

결론: 바위(庚) 속에 강(壬)을 품은 원숭이

신(申)금의 지장간은 **’무(戊)토’라는 거대한 산(山)**에서, **’경(庚)금’이라는 단단한 바위(원석)**가, **’임(壬)수’라는 거대한 강(지혜)**을 뿜어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내 사주에 신(申)금이 있다면, 나는 겉으로 보이는 강인함(경금)과 달리, 그 속에 거대한 스케일(무토)과 깊은 지혜(임수)를 동시에 가진 ‘변화무쌍한’ 사람입니다.

그리고 어떤 운이 와서 이 바위(申)를 깨부수거나(인신충), ‘물(水)’로 바꿔버리거나(신자진), 혹은 ‘불(巳)’과 만나 복잡한 ‘형(刑)’을 이루는지에 따라, 내 인생의 가장 역동적인 순간이 결정될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드디어 가을의 ‘왕(王)’이자 가장 순수한 쇠, ‘보석’을 뜻하는 [유(酉)금 지장간]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유(酉)금은 ‘왕지’답게 ‘중기’가 없고, 경금과 신금만으로 이루어진 순수한 구조를 보여줍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