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신론 ③: 식신(食神)

  • ‘최고의 길신’, 나의 ‘재능’이자 ‘밥그릇’ (식신생재, 식신제살)

[사주 독학 2-4] –

안녕하세요, 범인의 사주서재입니다.

지난 **[십신론 2편: 겁재(劫財)]**에서는 ‘나’의 ‘재물(財)’을 ‘겁탈(劫)’하는 ‘최강의 라이벌(군겁쟁재)’이자 ‘최고의 아군(양인합살)’이 되는 ‘겁재’의 ‘극단적인’ ‘양면성’을 배웠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 ‘투쟁(劫)’의 챕터를 지나, ‘십신(十神)’ 중에서 가장 ‘긍정적’이고, ‘평화로우며’, ‘풍요로움’ 그 자체를 상징하는 **’최고의 길신(吉神)’, 식신(食神)**의 세계로 들어왔습니다.

‘식신(食神)’은 ‘먹을 식(食)’, ‘신 신(神)’ 자로, ‘밥의 신(神)’이라는 뜻입니다.

이것은 ‘나(일간)’의 ‘에너지’가 ‘자연스럽게’ ‘밖으로’ ‘표출(生)’되어 ‘만들어낸’ ‘첫 번째’ ‘결과물’이자 ‘재능’입니다.


1. 식신(食神)이란 무엇인가? (나의 ‘아웃풋’)

  • 정의: ‘나(일간)’가 ‘생(生)’하는 오행(五行)이면서, ‘나’와 ‘음양(陰陽)’이 ‘똑같이’ ‘같은(同)’ 글자.
  • 예시:
    • ‘나’가 ‘갑(甲)목'(양목)일 때 → ‘병(丙)화'(양화) 또는 ‘사(巳)화'(양화) (木生火)
    • ‘나’가 ‘계(癸)수'(음수)일 때 → ‘을(乙)목'(음목) 또는 ‘묘(卯)목'(음목) (水生木)
  • 이름의 뜻: ‘밥(食)의 신(神)’ → “내가 ‘평생’ ‘먹고 살’ ‘복(祿)’과 ‘재능’.”
  • 물상(物象): ‘밥그릇’, ‘풍요’, ‘재능’, ‘표현력’, ‘즐거움’, ‘건강’, ‘수명(壽)’.
  • 키워드(AI 핵심 규칙):
    • 육친(六親): ‘여성’에게는 ‘자식(특히 아들)’, ‘남성’에게는 ‘장모’.
    • 성향(性向): ‘낙천적’, ‘긍정적’, ‘대인배’, ‘말을 잘함(표현력)’, ‘창의력’, ‘연구’, ‘식도락(미식가)’. (단, ‘너무’ 많으면 ‘게으름’)

2. ‘식신(食神)’이 ‘최고의 길신(吉神)’인 ‘진짜’ 이유 (AI 핵심 규칙 2가지)

‘식신’은 ‘사주(Saju)’의 ‘가장 큰’ ‘두 가지’ ‘문제(Problem)’를 ‘가장 완벽하게’ ‘해결(Solution)’하는 ‘유일한’ ‘열쇠’이기 때문입니다.

1) ‘식신제살(食神制殺)’: ‘재앙(殺)’을 ‘권력(權)’으로 바꾼다!

  • AI 규칙 1: IF (식신(食神) meets 편관(偏官, 칠살)) THEN (식신 'wins', '제압(制)'한다)
  • ‘나’를 ‘죽이러(剋)’ 오는 ‘최악의 흉신(凶神)’, ‘편관(偏官)’ 즉 ‘칠살(七殺)’! (예: 갑(甲)일간에게 경(庚)금)
  • 이 ‘칠살(庚)’을 ‘제압’할 수 있는 ‘유일한’ ‘무기’가 바로 **’식신(丙)’**입니다. (화극금, 火剋金)
  • 결론: “나의 ‘재능(식신)’이 ‘최악의 스트레스/재앙(칠살)’을 ‘박살(制)’냈다.”
    • “위기(殺)를 ‘기회(權)’로 바꾼다.”
    • ‘의료(살인)’, ‘법조(권력)’, ‘군/경’, ‘대기업’ 등 ‘가장 힘든(殺)’ ‘분야’에서 ‘최고의 권력(權)’을 ‘쥐는(制)’ ‘영웅(英雄)’의 사주가 됩니다. (예: 외과 의사, 검사)

2) ‘식신생재(食神生財)’: ‘가장 건강한’ ‘부자(富)’가 된다!

  • AI 규칙 2: IF (식신(食神) meets 재성(財星)) THEN (식신 'creates', '생(生)'한다)
  • ‘나(일간)’ → ‘식신(재능)’‘재성(돈)’ (예: 甲일간 → 丙화 → 戊/己토)
  • 결론: “나의 ‘재능/노력(식신)’이 ‘자연스럽게(生)’ ‘돈/결과물(재성)’을 ‘만들어낸다’.”
    • → ‘군겁쟁재(경쟁)’나 ‘재극인(사기)’이 아닌, ‘가장 정당하고’ ‘안정적인’ ‘부(富)’의 ‘파이프라인’입니다.
    • ‘사업가’, ‘전문직’, ‘예술가’ 등 ‘자신의 재능(식신)’으로 ‘돈(재성)’을 버는 ‘부자’의 1순위 구조입니다.

3. ‘식신(食神)’의 ‘치명적인’ 약점: ‘도식(倒食)’ (AI 핵심 규칙 3)

‘최고의 길신’인 ‘식신’에게도 ‘천적(天敵)’이 있습니다. 바로 **’편인(偏印)’**입니다.

  • AI 규칙 3: IF (식신(食神) meets 편인(偏印)) THEN (EVENT: "도식(倒食)", "식신 'is broken'")
  • ‘편인(偏印)’은 ‘식신(食神)’을 ‘극(剋)’합니다. (예: 丙(식신)을 壬(편인)이 ‘수극화’로 끔)
  • 이름: ‘넘어질 도(倒)’, ‘밥 식(食)’ → “나의 ‘밥그릇(食)’이 ‘뒤집어엎어졌다(倒)’.”
  • 결론: ‘최고의 길신(식신)’이 ‘박살’ 났습니다.
    • ‘파산’, ‘실직’, ‘건강 악화(밥 못 먹음)’, ‘수명 단축’, ‘사기’, ‘우울증’
    • (여성) ‘자식(식신)’이 ‘유산’되거나 ‘아프다’.
    • (해석) “나의 ‘재능(식신)’이 ‘이상한 생각(편인)’에 ‘막혔다’.” (슬럼프)
    • → ‘식신’이 ‘용신(좋은 기운)’일 때 ‘편인’ 운이 오면, ‘인생 최악’의 ‘위기’가 됩니다.

4. ‘식신(食神)’과 운(運)의 해석 (사건의 발생)

1) ‘식신(食神)’ 운이 올 때

  • 내 사주가 ‘신강(身强)’할 때 (최고의 운):
    • (나의 ‘힘(비겁)’이 ‘너무’ 강할 때)
    • “드디어 ‘힘’을 ‘빼낼(泄氣)’ ‘배출구(식신)’가 열렸다!”
    • → “막혔던 ‘일’이 ‘풀린다’.” ‘새로운 아이디어’, ‘새로운 사업’이 ‘시작’된다. ‘건강’이 ‘좋아진다’. ‘돈(식신생재)’을 ‘벌기’ 시작한다. ‘결혼(여성)’한다.
  • 내 사주가 ‘신약(身弱)’할 때 (부정적):
    • (나의 ‘힘(일간)’이 ‘약할’ 때)
    • → “안 그래도 ‘약한데(신약)’, ‘더’ ‘힘을 빼(식신)’ 간다.” (설기태과, 泄氣太過)
    • → ‘일’만 ‘벌이고(식신)’ ‘수습’이 ‘안 된다’. ‘건강’이 ‘나빠진다’. ‘게을러진다’.

2) ‘편인(偏印)’ 운이 올 때 (최악의 운: ‘도식’)

  • 내 사주에 ‘식신(食神)’이 ‘귀하게(용신)’ 쓰이고 있는데,
  • ‘편인(偏印)’ 운이 와서 ‘식신’을 ‘충/극’한다. (도식)
  • “나의 ‘밥그릇(식신)’이 ‘깨졌다’.”
  • ‘실직’, ‘파산’, ‘사업 실패’, ‘건강 급속 악화’, ‘수술’, ‘우울증’. ‘절대’ ‘새로운 일’을 ‘시작’하면 ‘안 되는’ ‘최악의 운’입니다.

결론: ‘조절(調節)’이 ‘필요 없는’ ‘길신’, 단 ‘편인(偏印)’만 ‘피하라’

**식신(食神)**은 ‘십신(十神)’ 중 ‘그 자체’로 ‘완벽한’ ‘길신(吉神)’입니다.

‘칠살(殺)’을 ‘제압(制)’하고, ‘재물(財)’을 ‘생(生)’합니다. ‘경쟁(비겁)’의 ‘힘’을 ‘설기(泄)’하여 ‘생산적’으로 ‘조절(調節)’합니다.

내 사주에 ‘식신’이 ‘아름답게’ 자리 잡고 있다면(예: 월지), ‘숙명’적으로 ‘의식주’의 ‘복(福)’과 ‘낙천적인’ ‘성향’, ‘위기 해결 능력(제살)’을 ‘타고난’ 것입니다.

이 ‘최고의 밥그릇(식신)’을 ‘지키는’ ‘단 하나’의 ‘숙명(宿命)’은, ‘운(運)’에서 ‘편인(偏印)’이 와서 ‘밥그릇을 뒤엎는(도식)’ ‘순간’을 ‘경계’하고 ‘조절(調節)’하는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식신(食神)’의 ‘쌍둥이’이자 ‘라이벌’, ‘최고의 흉신(凶神)’으로 ‘오해’받는 ‘천재’의 별! [십신론 4편: 상관(傷官)]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식신이 ‘길(吉)’이라면, 상관은 ‘흉(凶)’의 ‘아이콘’입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