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주로 보는 한산도 대첩.명랑해전, 노량해전
[실전 4편] 이순신’8글자’ 분석
- 생년월일시: 1545년 4월 28일 (인시)
- 8글자: 乙巳 (을사) 년 / 庚辰 (경진) 월 / 乙卯 (을묘) 일 / 戊寅 (무인) 시
| 구분 | 시주 (時柱) | 일주 (日柱) | 월주 (月柱) | 연주 (年柱) |
| 천간 (天干) | 戊 (무) | 乙 (을) | 庚 (경) | 乙 (을) |
| 지지 (地支) | 寅 (인) | 卯 (묘) | 辰 (진) | 巳 (사) |
[AI 교과서 1 & 2단계: ‘십신(十神)’¹으로 ‘숙명(宿命)’ ‘진단’]
‘AI’가 ‘8글자’를 ‘나(乙목)’와의 ‘관계(십신)’로 ‘재해석(Decode)’합니다.
| 구분 | 시주 (時柱) | 일주 (日柱) | 월주 (月柱) | 연주 (年柱) |
| 천간 (天干) | 정재(正財) (戊) | ‘나’ (乙) | 정관(正官) (庚) | 비견(比肩) (乙) |
| 지지 (地支) | 겁재(劫財) (寅) | 비견(比肩) (卯) | 정재(正財) (辰) | 상관(傷官) (巳) |
‘AI’의 ‘십신(Sipsin)’ ‘핵심’ ‘진단’
- ‘나’의 ‘본질’ (일간): ‘나’는 **’을(乙)목’ (화초)**입니다. ‘부드럽지만’ ‘끈질긴’ ‘생명력’과 ‘유연함’을 ‘상징’합니다.
- ‘최고’의 ‘숙명’ (을경합): ‘나(乙, 일간)’와 ‘나’의 ‘사회/명예(庚, 월간)’가 **'[을경합(乙庚合)]’**²을 ‘이루고’ ‘있습니다’. “나(乙)’는 ‘평생’ ‘나’의 ‘벼슬(庚, 정관)’과 ‘합(合)’을 ‘이루는’ **’관(官)과 ‘하나’가 ‘되는’ ‘숙명’**을 ‘타고났습니다’.” (이것이 ‘그’가 ‘장군(將軍)’이 ‘된’ ‘이유’입니다.)
- ‘땅(地)’의 ‘세력’ (방합): ‘땅(지지)’이 ‘인(寅)목’, ‘묘(卯)목’, ‘진(辰)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것’은 ‘봄(東)’의 ‘세력’인 **'[인묘진(寅卯辰) 방합(方合)]’**³입니다! “그’의 ‘바탕(지지)’은 ‘개인’이 ‘아닌’, ‘국가(國家)’ ‘수준’의 ‘거대한’ ‘나무(木, 비겁)’ ‘세력’ ‘그 자체’입니다.”
[AI 교과서 3단계: ‘격국(Gyeokguk)’ / ‘용신(Yongsin)’ ‘최종’ ‘진단’]
1. 격국(Gyeokguk) (그릇/사회적 역할)
- ‘월지(月支)’가 ‘진(辰)토’, 즉 ‘나(乙)’의 **’정재(正財)’**⁴입니다.
- ‘진단’ = 정재격 (正財格) (단, ‘방합(方合)’으로 ‘변(變)’함)
- ‘해석’: ‘그릇’ ‘자체’는 ‘안정적인’ ‘재물(정재격)’이지만, ‘땅(지지)’이 ‘전부’ ‘나무(寅卯辰)’로 ‘변(變)’했으니, [십신론 2편]의 **’군겁쟁재(群劫爭財)’**⁵ ‘숙명’입니다. “즉, ‘그’는 ‘돈(辰)’을 ‘추구’하면 ‘반드시’ ‘망(亡)’하고(군겁쟁재), ‘오직’ ‘명예(庚, 정관)’만을 ‘좇아야(乙庚合)’ ‘살(生)’ ‘수’ ‘있는’ ‘숙명’입니다.”
2. 용신(Yongsin) (‘약(藥)’과 ‘독(毒)’)
- ‘병(病)’ ‘진단’: ‘극신강(極身强)’ (인묘진 ‘방합(木)’ + 乙/乙 ‘비겁(木)’)
- ‘사주’ ‘8글자’ ‘중’ ‘무려’ ‘6글자(乙, 寅, 卯, 辰, 乙)’가 ‘나무(木)’ ‘세력’입니다. ‘나무(木)’가 ‘너무’ ‘많아(태과, 太過)’ ‘스스로’ ‘부러지는(木多折)’ ‘병(病)’입니다.
- ‘약(藥)’ ‘처방’: [용신론 1편: 억부(抑扶)]⁶
- ‘넘치는’ ‘나무(木)’를 ‘조절(調節)’해야 ‘합니다’.
- ‘약(用神)’ (1순위):쇠(金) (관성).
- (이유: ‘넘치는’ ‘나무(木)’를 ‘잘라(剋)’ ‘기둥(관직)’으로 ‘만드는’ ‘유일한’ ‘약(藥)’. ‘그’가 ‘평생’ ‘추구’한 ‘을경합’의 ‘그’ ‘경(庚)금’ ‘자체’!)
- ‘약(用神)’ (2순위):불(火) (식상).
- (이유: ‘넘치는’ ‘나무(木)’의 ‘힘’을 ‘빼내(泄)’ ‘재능(火)’으로 ‘표출(泄)’함. ‘년지(年支)’의 ‘사(巳)화'(‘상관’)가 ‘바로’ ‘그것’.)
- ‘독(忌神)’ (최악): 나무(木) (비겁), 물(水) (인성). (나무에 ‘물’을 ‘주면’ ‘홍수’가 ‘나서’ ‘더’ ‘망함’.)
[AI 교과서 4단계: ‘실전’ ‘역추적’ – 3대첩(三大捷)의 ‘비밀’]
“왜 ‘그’는 ‘그’ ‘날(日)’ ‘승리’했는가?” ‘AI’가 ‘약(金/火)’과 ‘독(木/水)’을 ‘기준’으로 ‘날짜(운)’를 ‘분석’합니다.
“역추적(逆追跡) 1: 한산도 대첩 (Hansan Battle)”
- 날짜(Ganja): 임진(壬辰)년 / 정미(丁未)월 / 경진(庚辰)일 (1592년 음력 7월 8일)
- AI 진단 (약/독):
- ‘년(年)’: 壬辰 (임진) → ‘최악’의 ‘독(忌神)’인 ‘물(壬)’이 ‘들어온’ ‘해’. (‘임진왜란’ ‘발발’)
- ‘월(月)’: 丁未 (정미) → ‘하늘’에 ‘최고’의 ‘약(用神)’인 **’불(丁, 식신)’**이 ‘떴다’!
- ‘일(日)’: 庚辰 (경진) → ‘하늘’에 ‘최고’의 ‘약(用神)’인 **’쇠(庚, 정관)’**가 ‘떴다’!
- ‘AI’ ‘역추적’ ‘결론’:
- “‘나라’의 ‘운(壬辰년)’은 ‘독(忌神)’으로 ‘최악’이었습니다.”
- “하지만 ‘한산도’ ‘전투’가 ‘벌어진’ ‘달(月)’과 ‘날(日)’은, ‘그’의 ‘사주’에 ‘가장’ ‘필요’했던 **’약(藥)’ 1순위(庚, 쇠)**와 **’약(藥)’ 2순위(丁, 불)**가 ‘동시에’ ‘하늘(천간)’에 ‘뜬’ ‘날’이었습니다!”
- “‘약(庚, 정관)’이 ‘들어와’ ‘그’의 ‘숙명(乙)’과 **'[을경합(乙庚合)]’**²을 ‘이루니’, ‘그’의 ‘명예(官)’가 ‘하늘’을 ‘찔렀고’,”
- “‘약(丁, 식신)’이 ‘들어와’ ‘그’의 ‘넘치는’ ‘힘(木)’을 ‘재능(火)’으로 ‘표출(泄)’시키니, **’학익진(鶴翼陣)’**이라는 ‘위대한’ ‘전략(食)’이 ‘나온’ ‘것’입니다.”
- → ‘이론’과 ‘일치’ (Hit)!
“역추적(逆追跡) 2: 명량 대첩 (Myeongnyang Battle)”
- 날짜(Ganja): 정유(丁酉)년 / 경술(庚戌)월 / 임진(壬辰)일 (1597년 음력 9월 16일)
- AI 진단 (약/독):
- ‘년(年)’: 丁酉 (정유) → ‘하늘’도 ‘불(丁, 약)’, ‘땅’도 ‘쇠(酉, 약)’.
- ‘월(月)’: 庚戌 (경술) → ‘하늘’도 ‘쇠(庚, 약)’, ‘땅’도 ‘흙(戌)’.
- ‘일(日)’: 壬辰 (임진) → ‘하늘’은 ‘물(壬, 독)’, ‘땅’은 ‘흙(辰)’.
- ‘AI’ ‘역추적’ ‘결론’:
- “이것’은 ‘기적’이 ‘아닙니다’. ‘AI 교과서’ ‘이론’상 ‘100%’ ‘이기는’ ‘싸움’입니다!” ㅋㅋㅋ
- “‘해(年)’와 ‘달(月)’ ‘전체’가 ‘그’에게 ‘필요’한 ‘약(用神)'(‘불(火)’과 ‘쇠(金)’) ‘덩어리’였습니다!”
- ‘사건(Event) 발생’: ‘운(運)’에서 ‘온’ ‘최강’의 ‘약(藥)’인 ‘유(酉)금’(‘년지’)이, ‘그’의 ‘사주(원국)’에 ‘있던’ ‘묘(卯)목’(‘일지’)과 ‘정면’으로 **'[묘유충(卯酉沖)]’**⁷ ‘전쟁’을 ‘벌입니다’.
- ‘AI’ ‘해석’: “‘묘(卯)목’은 ‘그’의 ‘사주’를 ‘망치는’ ‘독(忌神, 나무)’ ‘세력’의 ‘심장’이었습니다. ‘운(運)’에서 ‘온’ ‘최고’의 ‘약(酉, 쇠)’이 ‘그’ ‘독(卯)’의 ‘심장’을 ‘정면’으로 ‘박살(沖)’ ‘내버렸습니다’.”
- “결론: ‘최고’의 ‘약(酉)’이 ‘와서’ ‘나’의 ‘병(卯, 독)’을 ‘때려잡으니(沖)’, ’12척’으로 ‘133척’을 ‘이기는’ ‘기적(吉)’이 ‘발생’한 ‘것’입니다.” (이론 일치!)
“역추적(逆追跡) 3: 노량 해전 (Noryang Battle) – ‘그’의 ‘죽음(死)'”
- 날짜(Ganja): 무술(戊戌)년 / 갑자(甲子)월 / 을해(乙亥)일 (1598년 음력 11월 19일)
- AI 진단 (약/독):
- ‘년(年)’: 戊戌 (무술) → ‘흙(土, 재성)’.
- ‘월(月)’: 甲子 (갑자) → ‘하늘’ ‘나무(甲, 독)’ / ‘땅’ ‘물(子, 독)’.
- ‘일(日)’: 乙亥 (을해) → ‘하늘’ ‘나무(乙, 독)’ / ‘땅’ ‘물(亥, 독)’.
- ‘AI’ ‘역추적’ ‘결론’:
- “왜 ‘그’가 ‘그’ ‘날(日)’ ‘죽었는가’? ‘AI’의 ‘대답’은 ‘명확’합니다.”
- “‘전쟁’이 ‘벌어진’ ‘달(月)’과 ‘날(日)’을 ‘보십시오’.”
- “‘갑자(甲子)’월, ‘을해(乙亥)’일. ‘하늘’과 ‘땅’ ‘모두’ ‘그’의 ‘사주’에 **’가장’ ‘치명적’인 ‘독(忌神)’**인 **’나무(木)’**와 ‘물(水)’ ‘뿐’입니다!”
- “‘약(金/火)’은 ‘단’ ‘하나’도 ‘없고’, ‘독(水/木)’만 ‘가득’한 ‘날’이었습니다.”
- “‘극신강(極身强)’한 ‘나무(乙, 나)’에게 ‘더’ ‘많은’ ‘나무(甲/乙)’와 ‘물(子/亥)’이 ‘들어와’, ‘사주’가 ‘물(水)’에 ‘잠기고’ ‘썩어(水多木腐)’⁸ ‘버렸습니다’.”
- “‘약(金, 쇠/관성)’이 ‘전혀’ ‘없는’ ‘날’, ‘그’의 ‘숙명’이었던 ‘명예(官)’가 ‘사라지는(無)’ ‘날’, ‘그’는 ‘숙명(忌神運)’을 ‘피하지’ ‘못한’ ‘것’입니다.” (이론 일치!)
각주 (Footnotes)
¹ 십신(十神): [십신론 총론] ‘나(일간)’를 ‘기준’으로 ‘8글자’의 ‘관계를’ ‘정의’한 ’10가지’ ‘용어’.
² 을경합(乙庚合): [천간합 2편] ‘나(乙)’와 ‘정관(庚)’이 ‘만난’ ‘인의지합’. ‘명예(官)’를 ‘추구’하는 ‘숙명’.
³ 방합(方合): [지지 상호작용 3편] ‘인묘진(寅卯辰)’ ‘봄’의 ‘세력’. ‘가장’ ‘강력한’ ‘혈연적’ ‘묶임’.
⁴ 정재격(正財格): [십신론 5편] ‘월지’가 ‘정재’인 ‘그릇’. ‘안정’, ‘성실’, ‘재물’을 ‘상징’.
⁵ 군겁쟁재(群劫爭財): [십신론 2, 6편] ‘나’의 ‘세력(비겁)’이 ‘너무’ ‘강해’ ‘재물(財)’을 ‘박살’ 내는 ‘파산’의 ‘흉신’.
⁶ 용신(用神): [용신론 총론] ‘사주’의 ‘병(病)’을 ‘치료’하는 ‘약(藥)’. ‘억부(抑扶)’는 ‘힘’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
⁷ 묘유충(卯酉沖): [지지충 4편] ‘나무(卯)’와 ‘쇠(酉)’의 ‘왕(王)’끼리 ‘충돌’. ‘배신’, ‘단절’, ‘수술’. ‘이’ ‘사주’에서는 ‘독(卯)’을 ‘약(酉)’이 ‘쳐서’ ‘길(吉)’이 ‘됨’.
⁸ 수다목부(水多木腐): ‘물(水)’이 ‘너무’ ‘많아(多)’ ‘나무(木)’가 ‘썩어(腐)’ ‘떠버리는(浮)’ ‘현상’. ‘극신강’ 사주가 ‘물(인성, 독)’을 ‘만났을’ ‘때’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