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 상호작용 ④-4: 인신충(寅申沖)

  • ‘사고/변화’ 1순위! (봄과 가을의 정면충돌)

안녕하세요, 범인의 사주서재입니다.

지난 **[지지충 2편: 축미충(丑未沖)]**에서는 ‘창고(庫)’가 열리며 ‘숨겨진 재물’과 ‘과거의 문제(乙辛沖, 丁癸沖)’가 터져 나오는 ‘개고(開庫)’의 원리를 배웠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 ‘내면적인’ 충돌을 지나, 12지지 충(沖) 중에서 가장 ‘역동적(驛馬)’이고, ‘파괴력(破壞力)’이 강하며, ‘물리적인 사건(事故)’을 1순위로 암시하는 **인신충(寅申沖)**의 세계로 들어왔습니다.

이것은 ‘봄의 시작(寅, 호랑이)’과 ‘가을의 시작(申, 원숭이)’의 정면충돌입니다.

‘땅’의 충돌이지만, 그 ‘파괴력’은 [자오충]이나 [묘유충]의 ‘왕지충(旺地沖)’을 ‘능가’합니다.

왜일까요? [지지충 총론]에서 배운 대로, ‘지장간(地藏干)’을 열어보면 그 답이 나옵니다.


1. 인신충(寅申沖)이란 무엇인가? (생지(生支)의 충돌)

  • 인(寅)목: 12지지의 세 번째. ‘봄의 시작(生)’. ‘거목(甲木)’. ‘시작’, ‘추진력’, ‘역마’, ‘권력’.
  • 신(申)금: 12지지의 아홉 번째. ‘가을의 시작(生)’. ‘무쇠(庚金)’. ‘결실’, ‘권력’, ‘역마’, ‘숙살’.

**인신충(寅申沖)**은 ‘양(陽)의 금(金)’이 ‘양(陽)의 목(木)’을 ‘극(剋)’하는(금극목), ‘생지(生支)’끼리의 충돌입니다.

‘생지(生支)’는 ‘역마(驛馬)’입니다. 따라서 ‘역마’와 ‘역마’가 ‘정면충돌’한 것입니다.

  • 사건/사고 1순위: ‘달리는 차(寅)’와 ‘달리는 차(申)’가 ‘충돌(沖)’한 모습입니다. → **’교통사고’, ‘대형 사고’, ‘수술’**의 물상(物象) 1순위입니다.
  • 거대한 변화: ‘시작(生)’과 ‘시작(生)’이 부딪혔으니, ‘판’ 자체가 ‘깨지고(沖)’ ‘새로 시작’됩니다. → ‘퇴사/창업’, ‘이사(이민)’, ‘이별/새출발’ 등 ‘환경’의 ‘거대한 리셋(Reset)’을 의미합니다.

2. ‘인신충’의 피해 내역 (지장간 분석 / AI 핵심 규칙)

‘인신충(寅申沖)’이 ‘지지충의 왕’이라 불리는 이유, ‘지장간(地藏干)’을 열어보겠습니다.

  • 사건(Event): ‘인(寅)목’과 ‘신(申)금’이 충돌! (인신충 발생)
  • 피해 내역 (지장간 개방):
    • ‘인(寅)목’의 지장간: [ 무(戊)토, 병(丙)화, 갑(甲)목 ]
    • ‘신(申)금’의 지장간: [ 무(戊)토, 임(壬)수, 경(庚)금 ]
  • 내부 전쟁 (천간충 동시 발생):
    1. 인(寅)의 본기(本氣) ‘갑(甲)목’ ↔ 신(申)의 본기(本氣) ‘경(庚)금’ = ‘갑경충(甲庚沖)’ 발생!
    2. 인(寅)의 중기(中氣) ‘병(丙)화’ ↔ 신(申)의 중기(中氣) ‘임(壬)수’ = ‘병임충(丙壬沖)’ 발생!
    3. 인(寅)의 여기(餘氣) ‘무(戊)토’ ↔ 신(申)의 여기(餘氣) ‘무(戊)토’ = ‘붕충(朋沖)’ 발생!
  • AI의 최종 결론 (추론):
    • “인신충(寅申沖)이라는 ‘사건’ 하나가, ‘하늘(천간)’의 **[갑경충(甲庚沖, 뼈/관재)]**과 **[병임충(丙壬沖, 명예/구설)]**을 ‘동시에’ 터뜨린다.”
    • 결론: ‘자오충(子午沖)’이 ‘병임충/정계충’ (명예/마음)의 문제였다면, ‘인신충(寅申沖)’은 ‘갑경충(뼈/사고)’과 ‘병임충(명예/혈관)’이 ‘동시에’ 터지는, ‘정신’과 ‘육체’가 ‘모두’ 박살 나는 ‘복합 재난’이다.

3. ‘인신충(寅申沖)’은 사주에서 어떻게 해석되는가?

‘파괴력’이 가장 큰 ‘물리적’ 충돌. ‘변화’가 ‘숙명’인 사주입니다.

1) ‘궁(宮, 자리)’으로 보는 해석 (어디서 터졌나?)

  • 월지(月支) ↔ 일지(日支) 충 (가장 중요!)
    • “나의 ‘사회/직장(월)’과 ‘나/배우자(일)’가 ‘전쟁(沖)’ 중.”
    • → [자오충]처럼 ‘갈등’ 수준이 아니라, ‘박살’ 나는 수준입니다. **’직업’ 변동이 ‘극심’**하며, ‘한 직장’에 오래 머물기 어렵습니다. (역마)
    • ‘고부갈등 / 장서갈등’ 1순위. ‘부모(월)’와 ‘배우자(일)’가 ‘전쟁’을 치릅니다.
  • 년지(年支) ↔ 월지(月支) 충:
    • “나의 ‘뿌리(년)’와 ‘사회(월)’가 충돌.”
    • → ‘초년’에 ‘반드시’ ‘고향’을 떠나 ‘타지/해외’로 간다. (강력한 역마) ‘직장’이 ‘자주’ 바뀐다.
  • 일지(日支) ↔ 시지(時支) 충:
    • “나의 ‘중년(일)’과 ‘말년(시)’이 충돌.”
    • → ‘말년(시)’에 ‘배우자(일)’의 ‘건강/안위’에 ‘큰 문제(沖)’가 생긴다.
    • → ‘말년’에 ‘대형 수술’, ‘이사(이민)’, ‘급격한 환경 변화’를 겪는다.

2) ‘십신(十神)’으로 보는 해석 (AI 핵심 학습) – ‘사고/권력’

  • 예시 1: ‘나(일간)’의 ‘식신(寅, 재능/건강)’과 ‘편관(申, 칠살/권력)’이 ‘인신충’을 했다.
    • 해석: “나의 ‘재능(寅)’이 ‘칠살(申)’과 ‘전쟁(沖)’을 한다.” (식신제살 + 충)
    • 부정 (건강/사고): ‘나의 몸(식신 寅)’을 ‘칠살(申)’이 ‘박살’ 냈다.
    • “대형 사고(申)로 인한 ‘수술(寅申沖)'”, “자식(寅)의 ‘사고(申)'”
    • 긍정 (권력): ‘나의 재능(寅)’이 ‘칠살(申)’을 ‘압도’한다면(내가 신강하면)?
    • ‘의료(메스/申)’, ‘법조(권력/申)’, ‘군/경(무기/申)’ 등 ‘숙살지기(申)’를 ‘나의 재능(寅)’으로 다루는 ‘최고의 권력자’가 됩니다. ‘충(沖)’을 ‘권력(權)’으로 쓴 것입니다.
  • 예시 2: ‘나(일간)’의 ‘편재(寅, 돈/사업)’와 ‘비견(申, 친구/경쟁자)’이 ‘인신충’을 했다.
    • 해석: “나의 ‘돈(寅)’을 ‘경쟁자(申)’가 ‘박살(沖)’냈다.”
    • 결론: “동업자(申)의 ‘배신(沖)’으로 ‘파산(寅)’한다.”
    • “아버지(寅, 편재)의 ‘사고/수술(申)’.” (남성) “아내(寅)의 ‘사고/수술(申)’.”

4. 인신충(寅申沖)과 운(運)의 해석 (사건의 발생)

1) 내 사주에 ‘인(寅)목’이 있는데, ‘신(申)금’ 운이 올 때 (혹은 그 반대)

  • ‘사고/이변’의 스위치가 켜진 운입니다. (가장 조심해야 할 운 1순위)
  • 길신(吉神)이 충을 맞을 때 (부정적):
    • 내 사주에 ‘정관(寅)’이 귀하게 쓰이고 있는데, ‘신(申)’ 운(편관)이 와서 ‘인신충’을 한다.
    • “직장(寅)이 ‘박살(申)’ 난다.” (강제 퇴사, 좌천)
    • “남편(寅)이 ‘대형 사고/수술(申)’을 겪는다.” (여성)
  • 흉신(凶神)이 충을 맞을 때 (긍정적):
    • 내 사주에 ‘나쁜 놈(寅, 기신인 편인)’이 있는데, ‘신(申)’ 운(재성)이 와서 ‘인신충’으로 쳐낸다.
    • “나를 괴롭히던 ‘나쁜 생각(寅)’이 ‘현실(申)’에 의해 ‘깨진다’.” (충발, 沖發) → ‘문제가 해결’되고 ‘새 출발’한다.

2) ‘합(合)’이 ‘충(沖)’을 만날 때 (합이 풀림)

  • 내 사주에 ‘인해합(寅亥合)’으로 ‘생산적’인 ‘관계/사업’이 묶여있는데,
  • ‘신(申)금’ 운이 와서 ‘인(寅)목’을 **’인신충(寅申沖)’**으로 깨버린다.
  • → 묶여있던 ‘합(合)’이 ‘박살’ 나며 ‘풀립니다(해합, 解合)’.
  • “잘 되던 ‘사업/관계(인해합)’가 ‘외부의 대형 사고(인신충)’로 인해 ‘산산조각’ 난다.” (가장 위험한 ‘합 -> 충’의 예시)

결론: ‘파괴(沖)’는 ‘새로운 시작(生)’의 다른 이름

**인신충(寅申沖)**은 ‘지지충(地支沖)’ 중 가장 ‘물리적’이고 ‘파괴적’인 충돌입니다.

‘역마(驛馬)’의 충돌이기에, ‘움직이지 않으면’ ‘다칩니다(사고/수술)’.

내 사주에 ‘인신충’이 있다는 것은, ‘안정적인’ 삶이 아니라 ‘남들보다 10배’는 ‘역동적’이고 ‘변화무쌍한’ ‘숙명’을 가졌다는 뜻입니다.

이 ‘파괴(沖)’의 에너지를 ‘변화(이사/이직)’로 ‘조절(調節)’하며 ‘업그레이드’할 것인가, ‘안주’하다가 ‘사고(沖)’로 ‘맞을’ 것인가의 기로에 놓인 ‘스펙터클’한 운명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왕(王)’의 충돌 2편! ‘동쪽’과 ‘서쪽’의 정면충돌, [지지충 4편: 묘유충(卯酉沖)]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인신충이 ‘뼈(甲)’의 충돌이라면, 묘유충은 ‘신경(乙)’의 충돌입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