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의 재물을 빼앗는 ‘가장 강력한 라이벌’ (군겁쟁재)
안녕하세요, 범인의 사주서재입니다.
지난 **[십신론 1편: 비견(比肩)]**에서는, ‘나’와 ‘똑같은’ ‘분신(비견)’이 ‘아군’이 되거나 ‘경쟁자’가 되는 ‘자존심’의 원리를 배웠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 ‘순진한 친구(비견)’를 지나, 10십신(十神) 중에서 **가장 ‘강력하고’, ‘욕망이 강하며’, ‘이중적’**인 존재, ‘나’의 ‘재물(財)’을 ‘빼앗기(劫)’ 위해 태어난 ‘전문 라이벌’, **겁재(劫財)**의 세계로 들어왔습니다.
‘비견(比肩)’이 ‘경쟁’을 ‘할 수도’ 있는 ‘동료’라면,
‘겁재(劫財)’는 ‘이름’ 자체에 ‘재물을 빼앗는다(劫財)’는 ‘목적’이 ‘새겨진’ ‘전문 경쟁자’입니다.
‘사주 AI’가 ‘파산’, ‘배신’, ‘승부욕’이라는 ‘키워드’를 ‘학습’하는 ‘핵심’ 챕터입니다.
1. 겁재(劫財)란 무엇인가? (경쟁자의 확장)
- 정의: ‘나(일간)’와 ‘오행(五行)’은 ‘같지만(同)’, ‘음양(陰陽)’은 ‘다른(異)’ 글자.
- 예시:
- ‘나’가 ‘갑(甲)목'(양목)일 때 → ‘을(乙)목'(음목) 또는 ‘묘(卯)목'(음목)
- ‘나’가 ‘정(丁)화'(음화)일 때 → ‘병(丙)화'(양화) 또는 ‘사(巳)화'(양화)
- 이름의 뜻: ‘겁탈할 겁(劫)’, ‘재물 재(財)’ → “나의 ‘재물(財)’을 ‘겁탈(劫)’하는 존재”
- 물상(物象): ‘라이벌’, ‘전문 경쟁자’, ‘도둑’, ‘사기꾼’, (혹은 ‘강력한 아군’)
- 키워드(AI 핵심 규칙):
- 육친(六親): ‘형제자매’, ‘이복형제’, ‘라이벌’, ‘동업자’, ‘채권자’.
- 성향(性向): ‘승부욕’, ‘욕망’, ‘야망’, ‘배신’, ‘투기성’, ‘사교성’, ‘이중성’.
2. ‘겁재(劫財)’의 양면성: ‘최악의 적’인가, ‘최고의 아군’인가?
‘겁재(劫財)’는 [비견(比肩)]보다 ’10배’는 ‘강력한’ ‘양날의 검’입니다. ‘나’의 ‘힘(HP)’과 ‘재물(Money)’에 ‘직결’됩니다.
1) ‘신강(身强)’ 사주일 때 (내가 강할 때) → ‘최악의 적군(凶)’ (군겁쟁재)
- AI 규칙:
IF (Saju is Sin-gang) AND (Geopjae appears) THEN (EVENT: "최악", "군겁쟁재", "파산", "배신") - ‘나(일간)’의 ‘힘’이 ‘너무’ ‘강할’ 때 ‘겁재’는,
- ‘군겁쟁재(群劫爭財)’의 ‘핵심 주범’이 된다:
- “무리(群) 지은 ‘도둑(劫)’들이 ‘재물(財)’을 두고 ‘전쟁(爭)’을 벌인다.”
- [비견]이 ‘순진한’ ‘경쟁자’였다면, [겁재]는 ‘음양(陰陽)’이 ‘다른(異)’ ‘전문가’입니다. ‘나’의 ‘정재(正財, 아내/돈)’를 ‘합(合)’으로 ‘빼앗아(劫)’ 갑니다.
- (예: ‘나(甲)’의 ‘정재(己)’를 ‘겁재(乙)’가 ‘을기충(乙己沖)’이 아닌 ‘합(甲己合)’보다 ‘무서운’ ‘목극토(木剋土)’로 ‘극(剋)’하거나, ‘나(壬)’의 ‘정재(丁)’를 ‘겁재(癸)’가 ‘정계충(丁癸沖)’으로 ‘박살’ 낸다.)
- → ‘파산’, ‘부도’, ‘사기’, ‘배신’, ‘아내의 외도/건강악화’, ‘아버지의 파산’ 1순위.
- ‘양인(羊刃)’이 된다: ‘겁재’가 ‘왕지(旺支)'(자오묘유)에 있으면(예: 丙일간이 午), ‘양(羊)을 잡는 칼(刃)’이라는 ‘양인살(羊刃殺)’이 됩니다. → ‘극단적인’ ‘승부욕’, ‘폭력성’, ‘수술수’를 의미합니다.
- ‘군겁쟁재(群劫爭財)’의 ‘핵심 주범’이 된다:
2) ‘신약(身弱)’ 사주일 때 (내가 약할 때) → ‘최고의 아군(吉)’
- AI 규칙:
IF (Saju is Sin-yak) AND (Geopjae appears) THEN (EVENT: "최고의 조력자", "승리", "권력") - ‘나(일간)’의 ‘힘’이 ‘약할’ 때 ‘겁재’는,
- ‘최고의 조력자(助力者)’가 된다: ‘비견(친구)’보다 ‘음양(陰陽)’이 ‘다른(異)’ ‘힘’이기에, ‘더’ ‘강력한’ ‘나의 뿌리(根)’가 됩니다. (예: 甲일간에게 乙목보다 卯목이 더 강한 뿌리)
- ‘승리(勝利)’를 가져온다: ‘나’를 ‘괴롭히던’ ‘정관/편관(官殺)’을, ‘나’ 대신 ‘겁재(劫財)’가 ‘합(合)’으로 ‘막아줍니다’. (예: 丙일간이 辛관을 만났는데, 乙겁재가 乙辛沖? 아니다, 乙일간이 庚관을 만났는데 丙겁재가 丙庚合? → 이것은 ‘합’이 아니라 ‘극’이다. 수정.)
- ‘합살(合殺)’의 귀(貴): (예: ‘나(乙)’를 ‘편관(酉)’이 ‘공격(을유충)’할 때, ‘겁재(寅)’가 와서? 아니다.)
- ‘양인합살(羊刃合殺)’: (예: ‘나(甲)’가 ‘편관(庚)’에 ‘공격’당할 때, ‘나의 겁재(乙)’가 ‘경(庚)’과 **’을경합(乙庚合)’**을 한다!)
- → “나의 ‘여동생/누나(乙)’가 ‘나를 죽이려던 깡패(庚)’와 ‘결혼(合)’하여 ‘나를 구원’했다.” → ‘최고’의 ‘권력’과 ‘명예’를 ‘얻는’ ‘귀(貴)’한 사주가 됩니다!
3. ‘비견(比肩)’과 ‘겁재(劫財)’의 ‘결정적 차이’
‘AI’가 ‘정확한’ ‘추론’을 하려면, 이 ‘둘’의 ‘차이’를 ‘명확히’ ‘학습’해야 합니다.
| 구분 | 비견 (比肩) | 겁재 (劫財) |
| 음양 | ‘나’와 ‘같음’ (동성) | ‘나’와 ‘다름’ (이성) |
| 관계 | ‘친구’, ‘동료’, ‘분신’ | ‘라이벌’, ‘이복형제’, ‘채권자’ |
| 재물 | ‘군비쟁재’ (순진한 경쟁) | ‘군겁쟁재’ (전문적/의도적 약탈) |
| 성향 | ‘자존심’, ‘고집’, ‘독립성’ (단순) | ‘승부욕’, ‘야망’, ‘사교성’, ‘이중성’ (복잡) |
| 사회성 | ‘마이웨이’ (사교성 부족) | ‘타인을 이용’ (사교성 뛰어남, 겉과 속이 다름) |
4. ‘겁재(劫財)’와 운(運)의 해석 (사건의 발생)
1) ‘겁재(劫財)’ 운이 올 때 (가장 중요!)
- 내 사주가 ‘신강(身强)’할 때 (최악의 운):
- “도둑(劫財)이 ‘대문’ 열고 들어온 운!” (군겁쟁재 발동)
- → ‘파산’, ‘부도’, ‘사기’, ‘배신’, ‘투자 실패’ 1순위. ‘절대’ ‘동업/투자’ 금지.
- → (남성) “아내(재성)가 ‘떠나거나(이혼)’ ‘아프다(수술)’.” (재물/아내가 ‘박살’ 남)
- 내 사주가 ‘신약(身弱)’할 때 (최고의 운):
- “가장 ‘강력한’ ‘아군(겁재)’이 도착한 운!”
- → ‘경쟁’에서 ‘승리’한다. ‘힘’이 생긴다. ‘귀인’의 ‘도움’을 받는다.
- → (‘양인합살’이 되면) ‘승진’, ‘합격’, ‘권력’을 쥔다.
2) 내 사주 ‘겁재(劫財)’가 ‘충(沖)’을 맞을 때
- 예시: 내 사주 ‘월지(月支)’에 ‘묘(卯)목'(나의 ‘뿌리/겁재’)이 있는데, ‘유(酉)금’ 운이 왔다. (묘유충)
- ‘신강(身强)’ 사주였다면 (긍정적):
- → “나의 ‘재물(財)’을 ‘노리던’ ‘도둑(卯)’을 ‘경찰(酉, 관성)’이 ‘잡아갔다(沖)’.”
- → “갑자기 ‘돈(재물)’이 ‘들어오거나’ ‘문제가 해결’된다.” (충발, 沖發)
- ‘신약(身弱)’ 사주였다면 (부정적):
- → “나를 ‘돕던’ ‘유일한’ ‘아군(卯)’이 ‘박살(酉)’ 났다.”
- → ‘나’의 ‘건강’이 ‘무너진다’. ‘나’를 ‘돕던’ ‘형제/친구(卯)’가 ‘배신(沖)’하거나 ‘떠나간다’. ‘나’의 ‘기반’이 ‘뿌리째’ 흔들린다.
결론: ‘조절(調節)’이 ‘필수’인 ‘야망(野望)’의 칼
**겁재(劫財)**는 ‘십신(十神)’ 중 **가장 ‘강력한’ ‘힘(Power)’**이자, ‘재물(財)’에 대한 **’가장 강력한’ ‘위협(Threat)’**입니다.
‘비견(比肩)’이 ‘자존심’의 ‘방패’였다면, ‘겁재(劫財)’는 ‘야망’의 ‘칼’입니다.
내 사주에 ‘겁재’가 강하다면, ‘숙명’적으로 ‘경쟁’에 ‘내몰리고’ ‘승부욕’이 ‘불타오릅니다’.
이 ‘야망(劫)’을 ‘조절(調節)’할 ‘관성(官星, 통제)’이나 ‘식상(食傷, 배출구)’이 ‘없다면’, 그 ‘칼’은 ‘남(재물)’이 아닌 ‘나’를 ‘향하게(破)’ 됩니다. (군겁쟁재)
‘겁재(劫財)’는 ‘최고의 아군’이거나 ‘최악의 적군’일 뿐, ‘친구(비견)’는 ‘절대’ 될 수 없는 ‘가장 위험한’ ‘숙명’의 ‘파트너’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나(비겁)’의 ‘힘’이 ‘밖으로’ ‘표출’되는 ‘첫 번째’ ‘결과물’이자, ‘최고의 길신(吉神)’, [십신론 3편: 식신(食神)]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겁재가 ‘빼앗는’ 놈이라면, 식신은 ‘만들어내는’ 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