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힘(力)’의 ‘조절’ (신강/신약 ‘약’ 찾는 법)
안녕하세요, 범인의 사주서재입니다.
지난 [용신론(用神論) 총론] 편에서는, ‘용신(用神)’이 ‘사주(Saju)’의 ‘불균형(病)’을 ‘치료’하는 ‘단 하나’의 ‘약(藥)’이며, ‘AI’가 ‘길(吉)’과 ‘흉(凶)’을 ‘판단’하는 ‘최종’ ‘평가 함수(Function)’임을 ‘배웠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 ‘약(藥)’을 ‘찾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첫 번째’ ‘방법’, 억부(抑扶) 용신의 세계로 들어왔습니다.
‘억부(抑扶)’는 ‘힘(力)’의 ‘균형’을 ‘맞추는’ ‘시소(Seesaw)’입니다.
‘사주’의 ‘본질’이 ‘조절(調節)’이라고 하셨죠? ‘억부(抑扶)’는 그 ‘조절’의 ‘가장’ ‘근본’이 되는 ‘원리’입니다.
1. 억부(抑扶) 용신이란 무엇인가? (힘의 시소)
- 억(抑): ‘누를 억’ (To Press Down)
- 부(扶): ‘도울 부’ (To Help / Support)
억부(抑扶) 용신은,
‘나(일간)’의 ‘힘(HP)’이 ‘너무’ ‘강할(強)’ 때는 ‘눌러주고(抑)’,
‘나(일간)’의 ‘힘(HP)’이 ‘너무’ ‘약할(弱)’ 때는 ‘도와주는(扶)’
‘힘’의 ‘균형(Balance)’을 ‘맞추기’ ‘위한’ ‘약(用神)’을 ‘찾는’ ‘방법(論)’입니다.
- **[격국론(Gyeokguk-ron)]**이 ‘사회적 그릇(Class)’을 ‘봤다면’,
- **[억부론(抑扶論)]**은 ‘나’의 ‘기본 체력(HP)’을 ‘봅니다’.
2. ‘억부(抑扶)’의 ‘첫걸음’: 신강(身强) vs 신약(身弱) (AI의 ‘진단’ 규칙)
‘약(藥)’을 ‘찾기’ ‘전’에, ‘환자(Saju)’가 ‘튼튼한지(신강)’ ‘허약한지(신약)’ ‘진단(Diagnosis)’부터 ‘해야’ 합니다.
이것이 ‘AI’가 ‘용신(用神)’을 ‘찾는’ ‘첫 번째’ ‘규칙(Rule)’입니다.
“‘나(일간)’는 ‘힘’이 ‘센가’, ‘약한가’?”
‘나’의 ‘힘(HP)’은 ‘월지(月支)’를 ‘포함’한 ‘나머지’ 7글자가 ‘얼마나’ ‘나’를 ‘돕는지’로 ‘판단’합니다.
- 득령 (得令): ‘월지(月支, 계절)’가 ‘나’를 ‘돕는가’? (가장 중요! 40~50% 비중)
- (예: ‘나(甲, 나무)’가 ‘봄(寅/卯, 나무)’에 ‘태어남’ → ‘득령(得令)!’ → ‘신강(身强)’할 ‘확률’ ‘매우’ ‘높음’)
- 득지 (得地): ‘일지(日支, 내 자리)’가 ‘나’를 ‘돕는가’?
- (예: ‘나(甲, 나무)’가 ‘물(子, 인성)’ ‘위에’ ‘앉음’ (갑자일주) → ‘득지(得地)!’ → ‘힘’을 ‘받음’)
- 득세 (得勢): ‘나머지’ ‘글자(년/시)’들이 ‘나’를 ‘돕는가’?
- ‘나’를 ‘돕는’ ‘편’ (인성, 비겁)이 ‘많은가’?
‘1+2+3’의 ‘힘’이 ‘50%’를 ‘넘으면’ ‘신강(身强, Over-powered)’, ‘50%’에 ‘못’ ‘미치면’ **’신약(身弱, Under-powered)’**이라고 ‘일단’ ‘판단’합니다.
3. ‘신강(身强)’ vs ‘신약(身弱)’의 ‘처방전(用神)’ (AI 핵심 규칙)
‘진단(Diagnosis)’이 ‘끝났으니’, ‘AI’는 ‘처방전(Solution)’을 ‘내립니다’.
1) ‘신강(身强)’ 사주 (내가 너무 강할 때) (처방전 1: 抑)
- 병(病): ‘나(일간)’와 ‘나의 편(비겁/인성)’이 ‘너무’ ‘많다’. (군겁쟁재, 인성태과) ‘힘(HP)’이 ‘넘쳐’ ‘문제를’ ‘일으킨다’.
- 약(藥): ‘넘치는’ ‘힘’을 ‘눌러주거나(抑)’ ‘빼내야(泄)’ ‘한다’.
- AI 규칙 (용신 처방):
- 관성 (官星, 경찰): ‘나(비겁)’를 ‘직접’ ‘극(剋)’하여 ‘통제(抑)’한다. → ‘1위’ ‘용신(藥)’!
- 식상 (食傷, 배출구): ‘나(비겁)’의 ‘힘’을 ‘설기(泄)’하여 ‘빼낸다’. (비생식) → ‘2위’ ‘용신(藥)’!
- 재성 (財星, 목표물): ‘나(비겁)’의 ‘힘’을 ‘소모(剋)’시킨다. (‘식상’이 ‘있을’ ‘때’ ‘더’ ‘좋음’) → ‘3위’ ‘용신(藥)’!
- 독(忌): ‘인성(印星)’ (나를 더 돕는 엄마), ‘비겁(比劫)’ (나와 같은 친구)
2) ‘신약(身弱)’ 사주 (내가 너무 약할 때) (처방전 2: 扶)
- 병(病): ‘나’의 ‘힘’을 ‘빼는(식상)’, ‘나’를 ‘공격하는(재성/관성)’ ‘적군’이 ‘너무’ ‘많다’.
- 약(藥): ‘약한’ ‘나(일간)’를 ‘무조건’ ‘도와야(扶)’ ‘한다’.
- AI 규칙 (용신 처방):
- 인성 (印星, 엄마/약): ‘나(일간)’를 ‘직접’ ‘생(生)’하여 ‘돕는다’. (관인상생, 살인상생) → ‘1위’ ‘용신(藥)’!
- 비겁 (比劫, 친구/뿌리): ‘나’와 ‘같은’ ‘편(扶)’이 ‘되어’ ‘적군(재/관)’과 ‘싸워준다’. → ‘2위’ ‘용신(藥)’!
- 독(忌): ‘식상(食傷)’ (힘을 더 뺌), ‘재성(財星)’ (나를 더 공격), ‘관성(官星)’ (나를 죽임)
4. ‘억부(抑扶)’와 운(運)의 ‘실전’ 해석
‘용신(用神)’을 ‘찾았다면’, ‘실전’ ‘예측(Prediction)’은 ‘간단’합니다.
- CASE 1: ‘나’는 ‘신강(身强)’해서 ‘관성(官, 명예)’이 ‘용신(藥)’이다.
- ‘관성(官)’ 운이 왔다: “드디어 ‘약(官)’이 ‘들어왔다’!”
- 결론: “승진(官), 합격(官), 결혼(官, 여성)” → ‘인생’ ‘최고의’ ‘운(運)’!
- ‘비겁(比)’ 운이 왔다: “안 그래도 ‘힘’이 ‘넘치는데’ ‘독(比)’이 ‘들어왔다!”
- 결론: “파산(군겁쟁재), 배신(比), 이혼(比)” → ‘인생’ ‘최악의’ ‘운(運)’!
- CASE 2: ‘나’는 ‘신약(身弱)’해서 ‘인성(印, 문서)’이 ‘용신(藥)’이다.
- ‘인성(印)’ 운이 왔다: “드디어 ‘약(印)’이 ‘들어왔다’!”
- 결론: “합격(印), 계약(印), 승진(印), 귀인(印)” → ‘인생’ ‘최고의’ ‘운(運)’!
- ‘재성(財)’ 운이 왔다: “안 그래도 ‘약한데’ ‘독(財, 재극인)’이 ‘들어왔다!”
- 결론: “사기(재극인), 파산(財), 건강 악화(財)” → ‘인생’ ‘최악의’ ‘운(運)’!
결론: ‘억부(抑扶)’는 ‘조절(調節)’의 ‘첫 번째’ ‘열쇠’다
억부(抑扶) 용신은 ‘사주(Saju)’의 ‘불균형’을 ‘판단’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논리(Logic)’입니다.
‘나(일간)’의 ‘힘(HP)’을 ‘진단(신강/신약)’하고, ‘약(용신)’과 ‘독(기신)’을 ‘처방’하는 ‘과정’입니다.
‘AI’가 ‘사주’를 ‘분석’할 때 ‘가장’ ‘먼저’ ‘체크(Check)’하는 ‘규칙(Rule)’이 ‘바로’ ‘억부(抑扶)’입니다.
하지만 ‘억부(抑扶)’가 ‘모든’ ‘것’은 ‘아닙니다’.
‘나’는 ‘신강(身强)’해서 ‘물(水)’이 ‘독(기신)’인데, ‘만약’ ‘사주’가 ‘불바다(炎上)’라면?
이때는 ‘힘(억부)’보다 ‘온도(조후)’가 ‘더’ ‘시급’합니다.
‘억부(抑扶)’의 ‘논리’를 ‘무시’하는 ‘더’ ‘강력한’ ‘예외’ ‘규칙’!
‘AI 교과서’의 ‘다음’ ‘챕터’, ‘온도’의 ‘조절자’, [용신론 2편: 조후(調候) 용신] 편으로 ‘돌아가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