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지지 지장간-축(丑)토 편

  • (계수, 신금, 기토)

안녕하세요, 범인의 사주서재입니다.

[자(子)수 지장간] 편에서는 겨울의 왕(王)이 ‘임(壬)수’가 아닌 ‘계(癸)수’를 본기로 삼아 다음 생명을 잉태하는 응축된 에너지를 품고 있음을 배웠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 ‘자(子)월’의 시간을 지나, 겨울의 마지막이자 1년의 끝인 축(丑)토의 시간으로 넘어왔습니다.

축(丑)토는 12지지 동물로 ‘소’이며, 가장 춥고 어두운 시간(새벽 1시~3시)을 상징합니다. 하지만 이 축(丑)토는 단순히 얼어붙은 땅이 아닙니다. 땅 속에서는 이전 계절(겨울)을 저장(癸)하고, 새로운 금속(辛)을 갈무리하며, 봄을 맞이할 옥토(己)를 준비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활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 축(丑)토의 지장간(계수, 신금, 기토)을 이해하는 것은 사주에서 ‘토(土)’의 역할, 특히 **’잡기(雜氣)’**와 **’창고(庫)’**의 개념을 이해하는 핵심입니다.


1. 축(丑)토 지장간 조견표: 겨울의 창고 (金의 묘지)

먼저 축(丑)토의 지장간 구성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지지월(月)절기지장간 구성 (총 30일 기준)
축(丑)음력 12월소한(小寒), 대한(大寒)계(癸)수 (9일), 신(辛)금 (3일), 기(己)토 (18일)
구분여기(餘氣)중기(中氣)본기(本氣)
축(丑)계(癸)수신(辛)금기(己)토

축(丑)토는 ‘자(子)수’와 달리 3가지 오행이 모두 들어있습니다. ‘토(土)’의 지지이면서 ‘수(水)’와 ‘금(金)’을 품고 있죠.

이것이 바로 **’고지(庫支, 창고)’**이자 ‘잡기(雜氣, 기운이 섞임)’ 지지의 특징입니다.


2. 축(丑)토 지장간 분석: 왜 계(癸)수, 신(辛)금, 기(己)토인가?

1) 여기(餘氣): 계(癸)수 (이전 계절의 저장)

  • ‘여기(餘氣)’는 이전 달의 본기(本氣)가 넘어온 것입니다.
  • 축(丑)토의 이전 달은 ‘자(子)월’이며, 자(子)월의 본기는 **’계(癸)수’**였습니다.
  • 따라서 자(子)월의 차가운 ‘겨울비(癸수)’의 기운이 축(丑)월 초반까지 이어집니다.
  • 중요한 점: 축(丑)토는 이 계(癸)수를 단순히 이어받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흙(己토)’ 속에 **’저장(庫)’**합니다. 축(丑)토가 ‘젖은 땅’, ‘얼어붙은 땅’인 이유입니다.

2) 중기(中氣): 신(辛)금 (삼합의 목적: 金의 창고)

  • 축(丑)토는 **’사유축(巳酉丑) 금(金)국’**이라는 삼합(三合) 운동의 ‘마무리’이자 ‘창고(墓地)’입니다.
  • 가을(酉)에 결실을 맺은 ‘보석(辛금)’을 ‘축(丑)토’라는 겨울 창고에 갈무리(저장)하는 것입니다.
  • 즉, 축(丑)토의 중기 ‘신(辛)금’은 이 땅의 핵심 목적 중 하나가 **’금(金)을 저장하는 것’**임을 보여줍니다.
  • (참고: 고지(庫支)의 중기는 모두 이렇게 ‘삼합의 창고’ 역할을 합니다. 예: 辰토 = 水의 창고, 未토 = 木의 창고, 戌토 = 火의 창고)

3) 본기(本氣): 기(己)토 (축(丑)토의 본질: 옥토)

  • 축(丑)토의 본질은 ‘토(土)’이며, 음(陰)의 토인 **’기(己)토’**입니다.
  • 무(戊)토가 ‘산’처럼 거대하고 겉으로 드러난 흙이라면, 기(己)토는 ‘논밭’처럼 작고 실속 있으며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대지’입니다.
  • 축(丑)토의 ‘기(己)토’는 계(癸)수(물)와 신(辛)금(씨앗, 양분)을 품고 있습니다.
  • 해석: 겉은 가장 춥고 얼어붙어 쓸모없어 보이지만(丑), 그 속은 다가올 봄(寅월)에 생명(甲목)을 키워내기 위한 모든 영양분(물+양분)을 갖춘 **’가장 비옥한 옥토’**인 것입니다. 소(丑)가 끊임없이 되새김질하듯 인내하고 준비하는 물상(物象)과 같습니다.

3. 지장간과 십신(十神): 축(丑)토는 누구인가?

이제 이 복잡한 3개의 지장간(계수, 신금, 기토)이 ‘나(일간)’와 만나 어떻게 해석되는지 보겠습니다.

예시 1: 내가 ‘정(丁)화’ 일간일 경우 (丁丑 일주 등)

  • 축(丑)토는 나에게 ‘식신(食神)’입니다.
  • 지장간을 보니 계(癸)수(편관), 신(辛)금(편재), **기(己)토(식신)**가 들어있습니다.
  • 해석 (매우 중요):
    • 겉으로는 ‘식신’이라 온화하고 베풀기 좋아하는 성향(기토)을 보입니다.
    • 하지만 그 땅(기토)이 ‘편재(신금)’를 품고 있습니다(식신생재). 이는 재물 활동(편재)에 대한 본능적인 감각이나 욕구를 의미합니다.
    • 더 무서운 것은, 그 땅이 ‘편관(계수)’까지 품고 있다는 것입니다(식신제살). 이는 **어려움(편관)을 해결하려는 본능적인 힘(식신)**을 가졌음을 뜻합니다.
    • 결론: 정축(丁丑) 일주는 겉보기와 달리, 내면에 재물(辛)과 카리스마(癸)를 모두 다룰 수 있는 복잡하고 강력한 잠재력을 가진 것입니다. 이를 ‘백호살’이라고도 부릅니다.

예시 2: 내가 ‘을(乙)목’ 일간일 경우 (乙丑 일주 등)

  • 축(丑)토는 나에게 ‘편재(偏財)’입니다.
  • 지장간을 보니 계(癸)수(편인), 신(辛)금(편관), **기(己)토(편재)**가 들어있습니다.
  • 해석: 겉으로는 ‘편재(기토)’라 스케일이 크고 재물을 추구하는 사람처럼 보입니다.
  • 하지만 그 땅(기토)은 나를 극(剋)하는 ‘편관(신금)’을 품고 있습니다(재생살). 이는 재물(기토)을 추구하다가 오히려 스트레스나 위기(신금)에 빠질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 또한 ‘편인(계수)’이 ‘편관(신금)’을 설기(泄氣)하는(살인상생) 구조도 됩니다.
  • 결론: 을축(乙丑) 일주는 ‘재물(기토)’, ‘스트레스(신금)’, ‘비판적 수용(계수)’이라는 3가지가 내면에서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겉보기보다 훨씬 예민하고 복잡한 내면을 가졌을 확률이 높습니다.

4. 축(丑)토 지장간과 운(運)의 해석 (형충회합)

축(丑)토는 ‘잡기(雜氣)’이기에, 운(運)에 따라 지장간이 열리거나(개고) 닫히는(폐고) 현상이 극적으로 일어납니다.

1) ‘미(未)토’ 운이 올 때 (축미충, 丑未沖)

  • 축(丑)토와 미(未)토는 ‘토(土)’끼리의 충(沖)입니다. (붕충, 朋沖)
  • 이것은 ‘창고 문이 열린다’는 뜻입니다. (개고, 開庫)
  • 축(丑)토의 지장간 계(癸)수, 신(辛)금, 기(己)토가 모두 튀어나오고, 미(未)토의 지장간 정(丁)화, 을(乙)목, 기(己)토도 튀어나옵니다.
  • 해석: 만약 신(辛)금이 나에게 ‘재물’이었다면, 축미충 운에 ‘갑자기’ 돈이 생기거나(길신), 혹은 ‘갑자기’ 돈이 나갈 수(흉신) 있습니다. 지장간 속 숨겨진 것들이 현실로 드러나는 운입니다.

2) ‘유(酉)금’, ‘사(巳)화’ 운이 올 때 (사유축 삼합)

  • 축(丑)토는 유(酉)금이나 사(巳)화를 만나면 ‘사유축 금(金)국’을 이루어 강력한 ‘금(金)’의 세력을 형성합니다.
  • 이때 축(丑)토 지장간 속 ‘신(辛)금’이 주인공이 됩니다. (계수와 기토는 힘이 약해짐)
  • 해석: 사주 전체가 ‘금(金)’ 기운으로 변하게 됩니다. 금(金)이 나에게 ‘용신’이었다면 최고의 운이지만, ‘기신’이었다면 쇠(金)에 맞아 큰 어려움을 겪는 운이 됩니다.

3) ‘술(戌)토’, ‘미(未)토’ 운이 올 때 (축술미 삼형살)

  • 축(丑)토는 술(戌)토, 미(未)토와 만나면 ‘삼형살(三刑殺)’이라는 복잡한 조정을 겪습니다.
  • ‘형(刑)’은 ‘충(沖)’처럼 부수는 것이 아니라 ‘조정하고 고친다’는 뜻입니다.
  • 지장간 속의 계(癸), 신(辛), 정(丁), 을(乙) 등이 서로 얽히고설켜 싸우는 것입니다.
  • 해석: 건강 문제(수술), 법적 문제(조정), 인간관계의 갈등 등 ‘지저분한’ 문제들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특히 토(土)가 많은 사주에 형살이 오면 ‘암(Cancer)’ 등 건강에 극히 유의해야 합니다.

결론: 가장 어두운 땅속, 가장 비옥한 가능성

축(丑)토는 겨울(水)을 저장하고, 금(金)을 갈무리하며, 봄(木)을 준비하는 ‘기(己)토’의 땅입니다.

이는 축(丑)토가 가진 ‘인내’, ‘준비성’, ‘잠재력’을 의미합니다. 겉은 차갑고 무뚝뚝해 보일지라도, 그 속에는 ‘계수(지혜)’, ‘신금(결실)’, ‘기토(포용력)’라는 3가지 강력한 무기를 모두 품고 있습니다.

내 사주에 축(丑)토가 있다면, 나는 겉보기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강력한 사람입니다. 그리고 어떤 운이 와서 이 ‘창고(丑)’의 문을 여는지(충, 형)에 따라 내 인생의 거대한 변화가 시작될 것입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