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력인가, 배신인가
안녕하세요, 범인의 사주서재입니다.
지난 **[천간합 2편: 을경합(乙庚合)]**에서는 ‘도끼(庚)’가 ‘화초(乙)’를 만나 ‘의리’와 ‘애증’으로 묶이는 ‘인의지합(仁義之合)’을 배웠습니다.
이제 우리는 그 뜨거운 ‘감성’의 합을 지나, 10천간 합(合) 중에서 가장 ‘권위적’이고, 가장 ‘현실적’이며, 가장 ‘냉정한’ 합, **병신합(丙辛合)**의 세계로 들어왔습니다.
‘을경합’이 ‘정(情)’으로 묶인 합이라면, ‘병신합’은 ‘이(利)’, 즉 ‘이익’과 ‘권력’으로 묶인 합입니다.
이 합은 ‘위엄지합(威嚴之合)’이라는 화려한 이름을 가졌지만, 그 실체는 ‘태양’과 ‘보석’이 서로를 필요로 하는 ‘전략적 제휴’에 가깝습니다.
1. 병신합(丙辛合)이란 무엇인가? (위엄지합)
- 병(丙)화: 10천간의 세 번째. ‘태양(太陽)’을 상징. 가장 밝고(丙), 강력하며, 만물을 비추는 ‘권위’, ‘열정’, ‘리더십’의 아이콘. (양화, 陽火)
- 신(辛)금: 10천간의 여덟 번째. ‘보석(寶石)’, ‘날카로운 칼’을 상징. 정교하고(辛), 예리하며, ‘완성된 결실’, ‘가치’, ‘자존심’의 아이콘. (음금, 陰金)
**병신합(丙辛合)**은 이 ‘하늘의 태양(丙)’이 ‘땅의 보석(辛)’을 비추는 모습입니다.
‘화극금(火剋金)’의 원리로, ‘병(丙)화’는 ‘신(辛)금’을 ‘극(剋)하는(녹이는)’ 관계입니다.
그런데도 왜 이 둘은 ‘충(沖)’이 아니라 ‘합(合)’을 할까요?
이는 ‘양(丙)’이 ‘음(辛)’을 만난 ‘음양의 합(陰陽之合)’이며, ‘태양(丙)’은 ‘보석(辛)’을 비춰 자신의 ‘권위’를 드러내고 싶어하고, ‘보석(辛)’은 ‘태양(丙)’의 빛을 받아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태양(권력)’과 ‘보석(결과물)’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합입니다.
**’위엄지합(威嚴之合)’**이라고 부릅니다.
- 병(丙)화: 하늘의 ‘권위’, ‘위엄’ 그 자체입니다.
- 신(辛)금: ‘보석’은 ‘가치’와 ‘권위’를 상징합니다.
- 즉, ‘병신합’은 ‘권위’와 ‘가치’가 만나 더 큰 ‘위엄’을 만들어내는 합입니다. (예: 태양(丙) 아래 빛나는 왕관(辛))
2. 병신합(丙辛合)의 성립과 변화: ‘수(水)’로 변하다?
천간합 중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합화(合化)’ 이론입니다. 을경합(乙庚合)은 ‘금(金)’이 되는 것이 직관적이었지만, 병신합(丙辛合)은 **’수(水)’**로 변하려는 성질, 즉 **’합화수(合化水)’**라고 합니다.
- 이유: ‘태양(丙, 火)’이 ‘보석(辛, 金)’을 강력하게 녹이면, ‘쇠(金)’가 녹아 ‘물(水)’처럼 변한다는 이론입니다.
- 다른 해석: ‘병(丙)'(양의 극치)과 ‘신(辛)'(음의 완성)이 만나, ‘수(水)’라는 새로운 ‘생명(지혜)’을 잉태한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AI 학습의 ‘규칙’이 필요합니다.
[천간합 총론]에서 배웠듯이, ‘합화(合化)’는 극히 드물며, 99%는 ‘합반(合絆)’으로 작용합니다.
- AI 규칙 (중요):
IF (丙 and 辛 meet)THEN (丙의 기능 정지, 辛의 기능 정지, "서로 묶임", "수(水)의 성향이 생길 '수'도 있음")
즉, ‘태양(丙)’은 ‘보석(辛)’에 정신이 팔려 ‘빛’을 잃고, ‘보석(辛)’은 ‘태양(丙)’에 묶여 ‘날카로움’을 잃는 ‘합반(合絆)’ 상태가 되는 것이 99%의 현실입니다.
3. 병신합(丙辛合)은 사주에서 어떻게 해석되는가?
‘위엄지합’은 ‘권위’를 상징하지만, ‘화극금’의 본질상 ‘정이 없는 합(무정지합, 無情之合)’으로도 불립니다. ‘의리(을경합)’가 아닌 ‘실리(병신합)’를 좇습니다.
1) ‘나’ (일간)이 병(丙)화일 경우 (예: 丙일간이 辛금을 만남)
- ‘나(丙, 태양)’와 **’정재(辛금, 재물/아내)’**의 합입니다.
- 성향: ‘위엄지합’의 영향으로, 겉은 ‘병(丙)화’라 밝고 화려하며 ‘권위’를 중시하지만, ‘신(辛)금’과 합하여 내면은 **’실리’, ‘재물’, ‘완벽한 결과물(辛)’**에 극도로 집착합니다.
- 해석 (재물): 나는 ‘돈(辛)’에 대해 **강력한 ‘소유욕’과 ‘집착’**을 가집니다. ‘태양(丙)’이 ‘보석(辛)’ 하나만 비추는 꼴이니, ‘큰돈’보다는 ‘정교하고 확실한 재물(辛)’에 집착합니다. (물질주의적 성향)
- 해석 (남성): ‘정재(아내)’와 ‘합(合)’을 했습니다. ‘나(丙)’는 ‘아름다운 아내(辛, 보석)’를 원합니다. 하지만 이 사랑은 ‘애정’이라기보다 ‘통제’와 ‘과시욕’에 가깝습니다. (“저렇게 빛나는 보석(辛)이 내 것이다!”)
- 주의점 (합반): ‘나(丙)’의 기운이 ‘돈/아내(辛)’에 묶여버렸습니다.
- → “돈(辛) 때문에 나의 ‘권위(丙)’가 실추될 수 있다.” (돈 욕심에 눈이 멀다)
- → ‘나(丙)’라는 태양이 ‘보석(辛)’ 하나에 묶여 만물을 비추는 ‘빛(丙)’을 잃어버립니다. (시야가 좁아짐)
- → ‘재성(辛)’이 ‘인성(甲乙목, 공부)’을 ‘금극목’으로 쳐버리니(재극인), ‘돈(辛)’ 때문에 ‘공부’나 ‘도덕성(仁)’이 막히기 쉽습니다.
2) ‘나’ (일간)이 신(辛)금일 경우 (예: 辛일간이 丙화를 만남)
- ‘나(辛, 보석)’와 **’정관(丙화, 직장/남편)’**의 합입니다.
- 성향: ‘위엄지합’의 영향으로, 겉은 ‘신(辛)금’이라 예리하고 자존심이 강하지만, ‘병(丙)화’와 합하여 내면은 **’권력’, ‘명예’, ‘힘 있는 존재(丙)’**를 맹목적으로 추종합니다.
- 해석 (직장): 나는 ‘직장(丙)’과 ‘합(合)’을 했습니다. ‘태양(丙)’처럼 ‘힘 있고 화려한(대기업, 공직)’ 직장을 선호하며, ‘권력’의 핵심에 다가가려 합니다. (정치적 감각, 처세술)
- 해석 (여성): ‘정관(남편)’과 ‘합(合)’을 했습니다. ‘나(辛)’는 **’권력 있고(丙) 화려하며(丙) 나를 빛나게(丙) 해줄 남편’**을 원합니다.
- 주의점 (합반): ‘나(辛)’라는 ‘보석’이 ‘태양(丙)’의 빛에 ‘녹아버리는(合化水)’ 형국입니다.
- → “남편/권력(丙)에 묶여 ‘나(辛)’의 자아를 잃어버린다.”
- → ‘권력(丙)’의 빛을 ‘나(辛)’의 빛으로 착각하기 쉽습니다. (권력에 취함)
- → ‘병(丙)’이라는 태양이 너무 강하면, ‘나(辛)’는 녹아버려 ‘배신’당하거나 ‘이용’당하기 쉽습니다. (합이 풀릴 때 배신감이 큼)
4. 병신합(丙辛合)과 운(運)의 해석
1) 내 사주에 ‘병(丙)’이 있는데, ‘신(辛)’ 운이 올 때 (혹은 그 반대)
- **’묶임(合)’**이 발생하는 운입니다.
- 만약 내가 ‘병(丙)화’ 일간이라면, ‘신(辛)금’ 운(정재 운)이 오면?
- → ‘돈(辛)’이나 ‘결과물(辛)’에 ‘묶이는’ 운입니다. (돈 문제로 골치 아픔, 결혼)
- → ‘태양(丙)’의 기상이 ‘보석(辛)’이라는 실리 앞에 꺾이는 운입니다.
- 만약 내가 ‘신(辛)금’ 일간이라면, ‘병(丙)화’ 운(정관 운)이 오면?
- → ‘권력(丙)’이나 ‘명예(丙)’에 ‘묶이는’ 운입니다. (승진, 취업, 결혼)
- → ‘나(辛)’의 자존심을 굽히고 ‘권력(丙)’과 ‘타협’하는 운입니다.
2) ‘합(合)’이 ‘충(沖)’을 만날 때 (합이 풀림)
- 내 사주에 ‘병신합’이 이미 ‘묶여’있는데,
- ‘임(壬)수’ 운이 와서 ‘병(丙)화’를 **’병임충(丙壬沖)’**으로 깨버리거나,
- ‘정(丁)화’ 운이 와서 ‘신(辛)금’을 **’정신충(丁辛沖)’**으로 깨버리면?
- → 묶여있던 ‘합(合)’이 ‘풀립니다(해합, 解合)’.
- → (신(辛)일간 기준) ‘나(辛)’의 ‘경쟁자(丁)’가 나타나 ‘남편/직장(丙)’과의 합을 방해하거나, ‘남편/직장(丙)’이 ‘다른 문제(壬)’로 ‘충’을 맞아 합이 풀립니다.
- → 즉, ‘권력’이나 ‘재물’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거나, 혹은 ‘이별’, ‘퇴사’, ‘관계의 단절(배신)’을 의미합니다.
결론: 실리인가, 탐욕인가 (냉정한 합)
**병신합(丙辛合)**은 ‘위엄지합(威嚴之合)’이라는 이름처럼, ‘권위’와 ‘실리’를 좇는 가장 세속적이고 현실적인 합입니다.
이 ‘합’을 가진 사람은 ‘실리 계산’이 빠르고, ‘권력’을 지향하며, ‘화려함’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합니다.
하지만 ‘합(合)’은 ‘합’입니다. ‘정이 없는 합(무정지합)’이기에, 그 ‘실리’가 깨졌을 때 가장 ‘냉정’하게 돌아설 수 있는 합이기도 합니다.
- 병(丙)화는 ‘재물/결과(辛)’에 대한 ‘탐욕’을,
- 신(辛)금은 ‘권력/명예(丙)’에 대한 ‘탐욕’을 조심해야 합니다.
내 사주에 ‘병신합’이 있다면, 내가 지금 그 ‘화려함’과 ‘권력’에 묶여, 나 자신의 ‘빛(丙)’이나 ‘가치(辛)’를 잃어가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정(情)’의 끝판왕이자 가장 ‘음란한’ 합, [천간합 4편: 정임합(丁壬合) – 음란지합]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병신합과는 정반대인, 이성을 잃는 합입니다.)
